본문 바로가기
교육 도서 읽고 요약하기

수학 잘하는 아이는 이렇게 공부합니다 (1장)

by 책맘** 2025. 1. 6.
반응형

1장 학년이 올라갈수록 수학성적이 떨어지는 이유   

2장 올바른 수학공부가 수학성적을 결정한다                 

3장 초등아이 올바른 공부습관만들기                       

4장 엄마표 수학과 독학수학 실패하지 않는법      

5장 수학학원 잘 보내고 잘 다니려면                         

6장 내 아이, 수포자가 될수 없어

7장 최상위권으로 도약하기 위한 수학공부방법

 

 

1장  학년이 올라갈수록 수학성적이 떨어지는 이유

 

초등학교 수학시험은 매우 쉽다.

중학교도 절대평가방식으로 대부분 쉽게 낸다.
이렇게 변별력이 떨어지는 초등, 중등시험때문에 아이들은 수학을 너무 쉽게 공부하고,

부모들은 초등학생아이가 수학을 잘한다는 착각에 빠지며,

중학교에 올라가서도 그 착각이 어느 정도 유지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고등학교가서는 성적이 계속 하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초등 중등 수학학원은 고3까지 바라보는 장기적인 시야를 가지기 힘들기 때문에

어떤 방식으로 가르쳐야 하는지 알지 못한다.

과도한 내신대비와 반복학습으로 내신점수를 만들어내는데 지중한다. 
그러므로 학원의 도움으로 성적이 나오는 시기는 초등 중등까지이다.

고등부터는 반드시 스스로 공부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수학을 제대로 공부하려면 개념을 알아야 한다.
중등을 지나 고등으로 갈수록 알아야 하는 개념이 많고,

그 과정에서 어려운 용어가 등장하고 복잡해진다.

따라서 개념을 배워서 이해하는 것을 넘어 의식적으로 암기하는 작업이 꼭 필요하다.

이때 개념만 달달 암기하지 말고 개념이 적용되는 필수 예제를 풀이와 함께 보면서 암기해야 한다.
또한, 수학문제력을 길러야하는데 어려운 문제나 처음 보는 문제를 혼자서 2시간 이상씩 고민하여,

스스로 해결하는 경험을 가져야한다.

그러나 대부분 학생들은 선생님께 바로 질문하거나 해설지를 보면서 빠른속도로 해결하는 버릇을 들이기 쉽다. 즉 '듣기'와 '보기'방식으로 수학을 하는 것이다.

수학공부는 '스스로 생각하기'와 직접 연필을 움직여보는 '쓰기'방식이 주가 되어야 한다.

문제를 많이 푼다고 수학실력이 느는 것은 아니다.

적은 문제라도 모든 문제를 자기 스스로 고민해서 해결하는 경험을 쌓아야 실력이 늘어난다.  
또한, 고3까지 장기적인 시야를 가지고 아이의 능력에 따른 균형잡힌 학습계획을 세워야 고등수학을 잘 할 수 있다. 


수학공부를 잘하기 위해서는 언어능력도 중요하다.

언어능력이 떨어지면 내용을 체계화하고 분류해서 머릿속에 집어넣는 능력이 떨어지므로

수학공부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유아 시기부터 부모가 헌신적으로 노력해 초등 저학년까지 독서습관을 잡아야 한다. 

 

이글은 '수학 잘하는 아이는 이렇게 공부합니다' 류승재지음 (블루무스)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반응형